목차 |
제 1장 서론 : 이슬람과 이슬람주의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제 2장 : 이슬람주의 2.1 이슬람주의의 개념과 형성과정 2.2 이슬람주의의 활동과 영향 제 3장 : 현대 이슬람 사상가 하산 알 바나 3.1 하산 알 바나의 사상 3.2 하산 알 바나의 활동과 영향 제 4장 : 결론 4.1 이슬람주의와 이슬람사상가 하산 알 바나에 대한 의의 4.2 연구의 한계 및 과제 |
Ⅰ. 서론 : 이슬람과 이슬람주의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우선 이슬람주의에 대해 알아보기 이전에 이슬람주의를 포괄하는 이슬람에 대해 알아봐야 할 필요가 있다. 이슬람은 610년 예언자 무함마드가 제창한 종교이다. 이슬람은 유일신 알라를 믿고 예언자 무함마드가 대천사 가브리엘의 말을 적은 코란을 읽고 암송하며 신에 대한 믿음과 복종을 표현하는 종교이다. 이슬람은 기독교에 이은 제 2의 종교이며, 서아시아, 아프리카, 인도, 동남아시아 등 세계 각국에 퍼져있으며 현재 10억의 신자를 가지고 있다. 이슬람의 의미처럼 유일신 알라에 대한 절대적 복종을 하는 신자, 즉 아랍어로 무슬림이라고 하는데 이들은 평생 코란을 읽으며 이슬람 교리를 바탕으로 살아간다.
이슬람은 처음에는 이슬람을 전파한다는 기지 아래 여러 지역을 정복하는 정복전쟁을 통하여 각 지역의 문화와 여러 인종을 이슬람이란 종교를 바탕으로 하나로 융합하였다. 이슬람식의 정치, 경제, 종교, 문화, 생활 등을 피정복지에 전파하면서 이들에게 일체감을 주었다. 이를 바탕으로 우마이야 왕조를 건국하여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거대한 세 대륙을 지배하는 오스만 제국 시기까지 이슬람은 끊임없이 번창하였다.
하지만 근대 유럽 사회에서 산업혁명과 과학혁명을 바탕으로 강한 군사력을 형성하여 서구 제국주의를 형성하였고, 이슬람은 이에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었다. 이로 인하여 20세기 후반에는 이슬람 공동체를 현대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일어났고, 이로 인하여 옛 이슬람 전통을 지키고 싶은 이슬람과 이슬람 공동체도 현대화 되어야 하고 세속적으로 변해야 한다는 사람들 사이에서 많은 갈등과 마찰이 빚어진다. 그리고 옛 이슬람 전통을 지키고 싶어 하는 사람들을 이슬람 원리주의라고 한다.
사무엘 헌팅턴의 저서 ‘문명의 충돌’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오늘날에는 문명, 문화의 차이로 인한 갈등이 많이 생긴다. 그리고 이 문화의 차이는 기독교와 이슬람교로 대표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서구의 문화에 익숙해져 있고, 서구가 제공하는 시각으로 이슬람을 바라본다. 그래서 좀 더 객관적인 시각에서 이슬람과 이슬람 원리주의자들의 주장을 이해할 필요성이 있다.
제 2장 : 이슬람주의
2.1 이슬람주의의 개념과 형성과정
이슬람주의는 한마디로 이슬람 교리를 바탕으로 정치, 사회질서를 구축하자는 이슬람 운동이다. 코란을 근본으로 삼아 국가의 질서와 문화, 정치체제를 형성하자는 이 주장은 이미 9세기경 압바스 왕조시대부터 있었다. 그러나 오늘날의 현대사회에서 말하는 전통적인 면을 강조하여 과격한 이슬람 운동을 펼치는 이슬람 원리주의의 개념은 1940년대에 이후이다.
이슬람 원리주의 운동은 서구 유럽사회(기독교 문명)가 산업, 과학 혁명으로 인해 강인해진 군사력을 바탕으로 전 세계에 제국주의를 형성해 나간 것에 원인이 있다. 서구 유렵사회는 중동 이슬람 국가에게도 진출하였는데 이슬람 국가는 이에 대해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였다. 이슬람 사회는 그 당시 내부적으로 부패가 만연하고 무능하여 이슬람 공동체의 와해를 촉진시켰는데 이슬람 원리주의자들은 이에 대한 반발로 순수 이슬람 정신을 계승하여 이슬람의 부흥을 목표로 생겨났다.
이슬람 원리주의자들은 이슬람 국가 중 세속적인 정권을 무너트리고 이슬람의 경전인 코란을 바탕으로 세워진 이슬람 국가의 건설을 목표로 삼는다. 코란을 바탕으로 순수한 이슬람의 정신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이슬람 율법을 지키고 신에 의한 통치를 주장한다. 이러한 정신은 바로 외세의 간섭을 철저히 배척한다. 즉 서구적인 정치제도와 사회제도를 거부하며 오로지 이슬람 정신을 바탕으로 국가를 형성하자는 운동이다.
이러한 이슬람 원리주의의 시작은 와하브파의 순수 이슬람 정신을 계승한 1920년대 말의 무슬림형제단으로 보고 있다. 그리고 무슬림형제단의 정신이 발전하여 이슬람 민족주의가 생겨났다. 하지만 1950∼60년대에 이슬람 민족주의 운동은 잠시 주춤하였으나 이란혁명으로 팔레비 왕조를 무너트리고 전통 이슬람주의를 강조한 호메이니로 인해 다시 부흥하였다.
2.2 이슬람주의의 활동과 영향
이슬람 원리주의자들은 이슬람 국가 중 세속적인 정권을 무너트리고 이슬람의 경전인 코란을 바탕으로 세워진 이슬람 국가의 건설을 목표로 삼는다.
이슬람 교리를 정치ㆍ사회질서의 기본으로 하는 이슬람화운동이다. 즉, 근대에 있어서 샤리아(이슬람법)에 의해 질서가 유지되는 정치체제를 구축하려는 정치ㆍ종교운동과 그 이데올로기이다. 1970년대 경부터 이슬람 세계 각지에서 그 때까지의 내셔널리즘에 대항하는 형태로 이슬람의 이념을 내건 정치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이란의 이슬람 혁명, 파키스탄이나 수단 등에서의 국가법으로서의 샤리아 조항의 채용, 이집트의 사다트(Anwar al-Sâdât) 대통령 암살 등의 반체제 운동이나 요인 테러, 소련의 침략에 대한 아프가니스탄의 무자히딘 운동, 이스라엘이나 그것을 지원하는 서방국가에 대한 레바논이나 팔레스타인의 저항운동 등이다. 이들의 경향은 일반적으로 '원리주의’로서 알려져 있지만 기타 강조점의 차이에 따라 이슬람부흥, 이슬람 각성, 정치적 이슬람, 이슬람주의 등으로 불려 왔다.
이처럼 이들은 서구의 간섭을 배제하고 이슬람 전통 정신을 추구하여 이슬람 국가를 세우려고 하며 많은 활동을 하고 있다.
이러한 이슬람 원리주의 운동이 앞으로 어떠한 세계정세에 변화를 일으킬지 아직 알 수 없다. 이미 이란에서 호메이니의 이슬람 원리주의 정권이 수립되어 이라크와 이란-이라크 전쟁이 발생하기도 하였고, 오늘날에도 아랍 문명과 중동의 패권을 다투며 핵 개발로 미국을 비롯한 이스라엘, 많은 중동국과와 갈등을 빚고 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이들의 이슬람 원리주의를 서구적인 관점에서 비판하고 부정적인 시각으로 봐야 할 것이 아니라 이들의 입장에서 이해하고 분석하여야 한다. 그래야 이슬람 원리주의자들의 지하드를 줄이고 테러나 갈등이 줄어들 것이다.
* 나머지 내용은 다음 글에 포스팅을 하여 이슬람 주의 및 현대 사상가 대부인 하산 알 바나에 대해 이어가도록 하겠다. 첫 글인 만큼 떨리는 마음으로 썼는데 좋게 봐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이슬람과 아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십자군 전쟁과 전염병 -1 (0) | 2020.04.17 |
---|---|
이슬람주의와 현대 이슬람 사상가 하산 알 바나에 대하여 -2 (0) | 2020.04.17 |